본문 바로가기
IT용어/그외

DHCP란?

by 아이럽스토리지 2025. 1. 26.
반응형

DHCP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수많은 PC들이 DHCP 서버를 통해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할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IP 주소를 받을때는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 주소까지 한 번에 받을 수 있습니다.

 


DHCP 필요 이유

현대의 네트워크는 수십, 수백 대의 장치가 연결되기 때문에 DHCP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화: 네트워크 장치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
  • 확장성: 장치가 늘어나도 쉽게 관리
  • 충돌 방지: 중복된 IP 주소 할당을 막음


DHCP의 동작 원리

DHCP는 4단계 과정으로 동작합니다:

  1. 발견: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자신의 IP주소 요청
  2. 제안: DHCP 서버는 사용 가능한 IP 주소를 제안
  3. 요청: 클라이언트가 제안받은 IP를 사용하겠다고 요청
  4. 승인:서버는 요청을 승인하고, 클라이언트는 IP 주소를 사용


DHCP 구성 요소

DHCP는 네트워크에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필요로 합니다:

  • DHCP 서버: IP 주소를 관리하고 할당하는 서버
  • DHCP 클라이언트: IP를 요청하는 네트워크 장치
  • IP 주소 Pool: 할당 가능한 IP 주소의 범위
  • 임대 기간: 클라이언트가 IP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


DHCP의 장단점

장점

  • 자동화: 설정 오류를 줄이고 시간을 절약
  • 유연성: 모바일 장치, IoT 장치 등 다양한 환경에 적합합
  • 중앙 관리: 모든 IP 설정을 한곳에서 제어할 수 있슴

단점

  • 보안 문제: 인증되지 않은 장치가 IP를 받을 수 있슴
  • 의존성: DHCP 서버가 중단되면 네트워크 연결도 중단될 수도 있음
  • 추가 설정 필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추가 구성 작업이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