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 & Software/Linux

Rocky Linux 9에서 네트워크 본딩 구성 하기(Active/Backup, LACP)

by 아이럽스토리지 2025. 3. 12.
반응형

현대의 서버 환경에서 네트워크 안정성과 대역폭을 증가를 위해, 네트워크 본딩을 활용하는 것은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특히, 장애 발생 시 빠른 전환을 보장하고, 부하 분산을 통해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Rocky Linux 9에서 네트워크 본딩을 설정하는 방법을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네트워크 본딩 개요

본딩은 두 개 이상의 실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단일 인터페이스처럼 동작하도록 합니다
여기에 다양한 모드를 설정해서 트래픽 부하를 분산하고 가용성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 고가용성(HA, High Availability): 하나의 네트워크 경로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을 유지
  • 부하 분산(Load Balancing): 여러 인터페이스로 트래픽을 분산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
  • 이중화(Failover): 특정 네트워크 카드에 문제가 발생해도 다른 카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대비

 


네트워크 본딩 모드 종류

Linux 에서 지원하는 주요 본딩 모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 Mode 0 (Balance-rr):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트래픽을 분배하여 모든 네트워크 카드의 대역폭을 최대로 활용
  • Mode 1 (Active-Backup): 하나의 인터페이스만 활성화되며, 장애 발생 시 대체 인터페이스로 전환
  • Mode 2 (Balance-XOR): XOR 연산을 기반으로 특정 트래픽을 특정 인터페이스로 분배
  • Mode 3 (Broadcast): 모든 인터페이스로 동일한 패킷을 전송하며, 주로 장애 복구가 필요한 환경에서 사용
  • Mode 4 (802.3ad, LACP): IEEE 802.3ad(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를 이용하여 자동 링크 집계를 수행
  • Mode 5 (Balance-TLB): 송신 트래픽을 부하 분산하고, 수신 트래픽은 기본 인터페이스를 사용
  • Mode 6 (Balance-ALB): TLB와 유사하지만, 수신 트래픽도 부하를 분산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Active-Backup(Mode 1)과 LACP(Mode 4) 입니다.


네트워크 본딩을 위한 사전 준비

설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 사용 중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
여기에서는 ens192, ens224를 본딩 인터페이스로 사용해보겠습니다.

ip link show

 

 

 

본딩으로 사용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파악한 후, 해당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nmcli device status

 

 


Active-Backup(Mode 1) 방식 설정

Active-Backup 방식은 한 개의 인터페이스만 활성 상태로 유지, 장애 발생 시 백업 인터페이스가 자동으로 활성화됩니다.

 

1. 본딩 인터페이스를 생성.

nmcli connection add type bond con-name bond0 ifname bond0 bond.options "mode=active-backup"

 

 

 

2. 본딩에 포함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추가하기 전에 기존 connection 정보가 존재시  반드시 삭제해야 합니다!!

예시에서는 bond0에 포함될 예정인 인터페이스는 ens192, ens224인데, 이미 connection 정보가 존재합니다.

이 정보를 먼저 삭제해서 nmcli connection show 에서 bond0만 보여야 합니다.

 

만약 connection  정보가 존재시 아래 명령어로 본딩에 포함할 인터페이스 정보 삭제

nmcli connection delete ens192
nmcli connection delete ens224

 

 

 

3. 본딩에 포함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추가해야 합니다.

여기에서는  ens192, ens224를 추가해줍니다.

nmcli connection add type ethernet port-type bond con-name bond0-port1 ifname ens192 controller bond0
nmcli connection add type ethernet port-type bond con-name bond0-port2 ifname ens224 controller bond0

 

 

 

4. 본딩 인터페이스의 IP 주소를 설정합니다.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addresses 1.1.1.11/24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gateway 1.1.1.1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method manual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connection.autoconnect yes

 

 

 

5. 설정을 적용하고 확인합니다.

nmcli connection up bond0
ip a show bond0

 

 

 

6. 이제 Active-Backup 방식의 본딩이 설정이 완료.

아래 명령어로 bond0이 Active/Backup 모드이면서, 인터페이스 2개가 정상적으로 합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at /proc/net/bonding/bond0

 


LACP (Mode 4 또는 802.3ad) 방식 설정

LACP 모드는 IEEE 802.3ad 표준을 따르는 방식으로, 반드시 스위치가 이를 지원해야 합니다

연결된 네트워크 스위치 장비에서 LACP를 설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1. LACP 모드로 본딩 인터페이스를 생성합니다.

nmcli connection add type bond con-name bond0 ifname bond0 bond.options "mode=802.3ad"

 

 

 

2. 본딩에 포함될 인터페이스를 추가.
아까처럼 bonding에 포함될 예정인 인터페이스 connection 정보가 남았다면, 반드시 삭제합니다.

아래 명령어로 bond0에 인터페이스들을 합류합니다.

nmcli connection add type ethernet port-type bond con-name bond0-port1 ifname ens192 controller bond0
nmcli connection add type ethernet port-type bond con-name bond0-port2 ifname ens224 controller bond0

 

 

 

3. 본딩 인터페이스의 IP 주소를 설정합니다.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addresses 1.1.1.11/24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gateway 1.1.1.1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method manual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connection.autoconnect yes

 

 

 

4. 설정을 적용하고 확인합니다.

nmcli connection up bond0
ip a show bond0

 

 

 

5. 이제 LACP 방식의 본딩이 설정.

아래 명령어로 bond0이 LACP 모드이면서, 인터페이스 2개가 정상적으로 합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at /proc/net/bonding/bond0


결론

Rocky Linux 9에서 네트워크 본딩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Active-Backup 방식은 안정성을 높이는 데 유리하고, LACP 방식은 대역폭 확장에 적합합니다.

이번 가이드를 통해 네트워크 환경에 맞는 적절한 본딩 방식을 선택하고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