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는 범용적으로 여러뜻으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이나 기관에서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전문적인 장비를 의미하고 온프레미스 스토리지라고 지칭합니다.
기업의 IT 인프라에서 빠질 수 없는 핵심적인 장비입니다.
일반적으로 전산실에서 운영되는 EMC, Lenovo, NetApp, HPE 등의 온프레미스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는 대규모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보관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스토리지는 사용 목적과 아키텍처에 따라 DAS(직접 연결 스토리지), NAS(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 SAN(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로 구분됩니다.
스토리지의 연결 방식
직접 연결 스토리지(DAS)
DAS는 서버와 스토리지를 직접 연결되는 방식으로,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빠른 성능을 제공합니다. 주로 중소 규모의 업무 환경에서 활용되며, RAID 구성을 통해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공유가 어렵고 확장성이 제한적입니다.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NAS)
NAS는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방식입니다. 전용 운영체제와 파일 시스템을 갖춘 NAS 장비는 파일 공유, 백업 및 복원 기능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고성능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속도와 확장성에서 한계를 가질 수 있습니다.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SAN은 가장 고성능의 스토리지 연결 방식입니다.
기업용 데이터센터에서 필수적인 장비이고, 일반적으로 FC(광케이블)케이블을 이용해 서버와 연결됩니다.
또한 높은 대역폭과 짧은 지연 시간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1개의 스토리지에서 여러개의 볼륨을 만들어서 다수의 서버가 나누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DAS처럼 데이터 공유는 어렵습니다.
스토리지 설치되는 과정
하드웨어 준비
스토리지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 스토리지 장비 선택: 각 벤더마다 나오는 스토리지를 환경에 맞는 모델을 선정
- 디스크 구성: SSD, SAS HDD 등 성능과 비용을 고려하여 적절한 스토리지 미디어를 결정.
- RAID 설정: 데이터 보호 및 성능 최적화를 위해 RAID 5, RAID 6 또는 RAID 10을 구성.
- 네트워크 연결: SAN 환경에서는 SAN 스위치와 HBA를 준비, NAS는 기가비트 또는 10GbE 네트워크를 구성.
스토리지 및 서버 설정
스토리지 장비를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 스토리지 자체 관리 UI 설정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볼륨이 할당된 서버에서 어떤 식으로 구성할지 고려해야 합니다.
- 스토리지 관리 OS 설정: 일반적으로 스토리지에 내장된 관리 UI에서 설정
- RAID 및 볼륨 설정: 서버와의 연결을 위해 적절한 RAID 그룹과 볼륨을 생성
- 파일 시스템 구성: 볼륨이 할당 된 서버에서 파일시스템을 어떤 형식으로 포맷할지 지정 ( NTFS, XFS, ZFS 등의 파일 시스템을 설정)
- 액세스 권한 및 보안 정책 적용: 사용자별 접근 권한을 설정하고, 데이터 보호를 위해 스냅샷 및 백업 정책을 적용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연결
스토리지를 원활하게 사용하려면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중요합니다.
- iSCSI 또는 FC 설정: SAN 환경에서는 iSCSI 타겟과 이니시에이터를 설정, FC 환경에서는 WWPN 바인딩을 수행.
- 네트워크 대역폭 최적화: 10Gb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 LACP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속도를 최적화
- 멀티패스 설정: 이중화된 경로를 통해 장애 발생 시에도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및 테스트
만약에 스토리지 교체시, 기존 데이터를 새로운 스토리지로 이전하는 작업도 중요합니다.
- 데이터 백업: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사전 백업을 진행
- 마이그레이션 도구 활용: NetApp SnapMirror, fastcopy, rsync 등 마이그레이션 솔루션을 사용하여 데이터 이동을 수행
- 성능 테스트: 각종 I/O 벤치마크 도구를 이용해 IOPS, Latency, Throughput을 측정
최적화 및 유지보수
스토리지를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주기적인 유지보수와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최신 업데이트를 적용하여 보안 및 성능을 개선
- 디스크 상태 점검: 스토리지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 디스크 장애 발생시 예비 디스크로 교체
- 캐싱 및 데이터 중복 제거: SSD 캐싱, 압축 및 중복 제거 기술을 적용하여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
-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스토리지 벤더사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도구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성능과 장애를 감시
결론
스토리지는 기업 IT 인프라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올바르게 선택하고 구성해야 높은 안정성과 성능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EMC, Lenovo, NetApp, HPE 등의 전문 스토리지 솔루션을 활용하면 기업 환경에 최적화된 데이터 관리가 가능합니다. 스토리지 장비를 설치하고 운영할 때, 하드웨어 선정부터 네트워크 구성, 성능 테스트까지 철저히 점검해야 합니다. 장기적인 유지보수와 성능 최적화를 통해 안정적인 데이터 저장 환경을 구축해 보시기 바랍니다.
'IT용어 > 스토리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N Switch란? (0) | 2025.01.26 |
---|---|
SSD와 HDD의 차이점에 대하여 (0) | 2023.10.25 |
스토리지 구매 및 도입 시 고려해야 할 4가지 (0) | 2023.10.21 |
RAID란?(RAID 종류 및 작동 방식) (0) | 2023.10.21 |
HBA 카드의 종류 2가지(FC카드와 SAS카드) (1)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