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여러 디지털 장치들은 네트워크 상에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MAC 주소(Medium Access Control Address)입니다. MAC 주소는 각 장치가 네트워크에서 식별될 수 있게 해주는 고유한 식별자입니다. 이 주소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내장되어 있으며, 장치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MAC 주소의 정의
MAC 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 고유하게 할당되는 물리적인 주소입니다.
예를 들어, "00:11:22:33:44:55"와 같은 형식입니다.
이 주소는 제조업체에서 장치마다 고유하게 할당되있고,이 MAC주소로 네트워크 상에서 장치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MAC 주소는 기본적으로 장비가 제조될 때 내장되며, 일반적으로 변경이 불가능 합니다.
MAC 주소는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합니다. 이는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연결을 관리하는 계층으로, 주로 이더넷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및 Wi-Fi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MAC 주소의 주요 특징
고유성
MAC 주소는 각 장치에 대해 고유하게 할당되므로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 장치를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식별자 입니다.
이 특성 덕분에 네트워크 장비는 충돌 없이 원활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영구적 식별자
MAC 주소는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장치가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더라도 변하지 않습니다.
이 특성은 네트워크에서 장비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고정된 형식
MAC 주소는 48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며, 이는 12자리 16진수로 구성됩니다.
첫 6자리는 제조업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OUI(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이며, 나머지 6자리는 제조업체가 장치에 할당한 고유값입니다.
MAC 주소의 작동 원리
MAC 주소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장비 간 통신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동합니다.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때, 각 장치는 데이터 프레임에 목적지 MAC 주소를 포함시켜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된 장치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통신 예시
- 컴퓨터 A가 컴퓨터 B에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A는 B의 MAC 주소를 통해 목적지 장비를 식별
- 이 데이터는 이더넷 프레임 형태로 전송되며,이 프레임에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MAC 주소가 포함
- 수신 장치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자신의 MAC 주소와 비교하여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된 것인지 확인.
- 수신 장치는 해당 MAC 주소와 일치하면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를 무시
이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장치들은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습니다.
MAC 주소의 단점
변경 불가능성
MAC 주소는 기본적으로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어 변경이 어렵습니다. 물론 일부 장비는 소프트웨어적으로 MAC 주소를 변경할 수 있지만, 대체로 고유한 특성을 가진 물리적인 주소이기 때문에 변경이 어려운 점은 보안상 취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스케일 확장의 어려움
MAC 주소는 48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므로, 이론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치의 수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 48비트 주소는 충분히 큰 범위를 제공하지만, 장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미래의 네트워크에서는 다른 형태의 주소 체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결론
MAC 주소는 네트워크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장치 간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보안 및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주소는 고유성, 변경 불가능성, 그리고 물리적 식별자로서 장점이 있지만, MAC 주소 충돌이나 프라이버시 문제 등의 단점도 존재합니다. 네트워크 보안, IoT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MAC 주소를 활용하는 방식이 늘어나는 만큼, 이를 어떻게 관리하고 보호할 것인가는 앞으로도 중요한 문제로 남을 것입니다.
'IT용어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2,L3,L4 스위치 개념 및 차이점 쉽게 이해하기 (0) | 2025.03.05 |
---|---|
VPN이란?(VPN 작동 원리 및 사용하는 이유) (2) | 2023.10.22 |
광케이블이란?(전송 속도, 전송 모드, 광 케이블 종류) (1) | 2023.10.20 |
Latency과 Throughput 그리고 Bandwidth (68) | 2023.09.22 |
네트워크 스위치란? (작동방식 및 유형) (71) | 2023.09.16 |